전문적인 섭외&진행 노하우로 다져진 호오컨설팅은 행사 진행에서 가장 중요한
사회자의 섭외를 통해 성공적인 행사가 진행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최설민 강사님
강연일
조회수4709
소통( 소통, 감성소통, 커뮤니케이션 )
건강( 심리 )
창의( 콘텐츠 )
안녕하세요. 강사 섭외 전문 플랫폼 호오컨설팅입니다.
오늘 포스팅은 심리학자 최설민 작가 강연으로 '분위기가 압도적인 만만하지 않은 사람 특징' 라는 주제의 특강 강의 영상입니다.
최설민 작가께서는 유튜브 채널 '놀면서 배우는 심리학' 을 운영하시며, 다양한 주제를 심리학을 통해 풀어나가는 유익한 특강 강의를 진행하고 계십니다.
결국은 해내는 사람 이런 사람들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요?
제 지인 중에 s 기업 다니는 친구가 하나 있습니다.
그 친구는 저랑 같이 고등학교 2학년 때까지 놀다가 고3이 되어서 정신을 차리고 공부를 정말 열심히 한 친구예요.
어쨌든 1년 동안 정말 열심히 공부를 했는데 그 친구는 결국 원하는 결과를 보지 못하고 수능에서 모두 낙방을 하게 됩니다.
결국 3수까지 도전을 하게 됐지만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았고 자신의 기준에서 정말 한참 낮은 학교에 입학을 하게 됐어요.
그런데도 그 친구는 별로 힘든 기색도 없고 오히려 캠퍼스 생활을 잘 즐기더라고요.
그래서 제가 의아하게 생각해서 물어봤습니다.
"야 당연히 안 괜찮지. 그런데 지금부터 시작이잖아."
친구는 이렇게 말하더라고요.
① 단단한 사람은 고통을 잘 안느낀 다는 생각은 착각이다.
다만 다른 한 가지는 좌절하지 않는다는 겁니다.
지금 겪는 고통은 내가 감내해야 하는 일이라는 것을 알기 때문이에요.
다시 말해서 내가 통제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난 일이라는 사실을 알기 때문이라는 거죠.
"지금부터 시작이잖아."
충분히 힘들고 고통스럽지만 그럼에도 지금부터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찾아서 하겠다라는 의미가 친구의 말 속에 숨겨져 있었던 겁니다.
결국 그 친구는 대한민국 최고의 기업인 s 기업에 입사할 수 있었습니다.
② 단단한 사람은 시간을 낭비하지 않는다.
감정적으로 동요는 할지언정 거기에 얽매여서 무너지거나 좌절하지는 않는다는 말이에요.
차라리 그 시간에 자신이 할 수 있는 다른 일에 집중합니다.
제가 조용하지만 단단한, 조용하지만 만만하지 않은 이라는 말을 쓴 이유는 쓸데없는 말을 잘 하지 않는다 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에요.
내면이 단단한 사람들은 남들에게 쓸데없는 조언이나 선 넘는 간섭을 하지 않습니다.
내가 아무리 말을 해도 상대를 근본적으로 바꿀 수는 없기 때문에 필요한 말만 하게 되는 거죠.
남들이 이런 사람들을 볼 때 정말 필요한 말만 하는 무게감 있고 존재감 있는 사람으로 보이게 될 거예요.
③ 단단한 사람은 자존감이라는 말에 관심이 없다.
만만하지 않고 멘탈이 강한 사람은 자존감에 관심이 많고 자존감을 높이려는 다양한 시도를 했을 거라고 생각하는데 의외로 무관심합니다.
왜냐하면 자존감이 낮아서 어떤 행동을 하기도 하지만 어떤 행동을 하기 때문에 자존감이 낮아질 수도 있기 때문이에요.
어쩌면 현재 내가 자존감이 낮다는 것의 반증일 수도 있기 때문에 그 생각이 고착돼서 의기소침해질 수도 있습니다.
물론 낮은 자존감에서 높은 자존감을 만들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관심과 시도는 필요합니다.
HOW 단단한 마음으로 바꿀 수 있을까?
① 수용을 해야 됩니다.
통제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을 구분하고 새로운 시작을 해야 한다는 거예요.
내가 지금 할 수 있는 무언가에 행동을 통한 몰입을 해야 한다는 건데, 많은 사람들이 특정 문제 상황에서 회피를 합니다.
회피를 하면 다시금 상황은 악화되고 악화된 상황은 스스로의 가치를 깎아 먹게 돼 나 스스로에 대한 믿음이 뚝뚝 떨어지는 겁니다.
자존감이 낮아지는 악순환의 고리를 겪게 되는 거죠.
② 자존감이 낮아지는 악순환을 끊어내야 합니다.
정말 하기 싫은 일에 아주 작은 것부터 행동을 통해서 몰입해 보시면 조금씩 조금씩 내가 행동을 하다 보면 성과가 나옵니다.
그 순간 스스로에 대한 믿음이 생기고 마음의 근육이 붙게 될 거예요.
정말 사소한 거라도 상관없이 루틴을 세워서 성취하세요.
여러분이 루틴을 통해서 마음의 성취를 이뤄내는 것은 마치 마음의 재활 치료, 마음의 필라테스를 하는 것과 비슷한 효과를 가지게 될 거예요.
③ 마지막으로 발견하세요.
내가 좋아하는 게 뭔지 모르겠다. 내가 재미있는 게 세상에 없다면 지금 눈을 감고 내 인생에서 동영상처럼 생생하게 기억되는 그것을 찾아보세요.
가슴이 뛰고 생동감이 느껴졌던 순간 그 순간이 힌트입니다.
정말 별거 아닐 수도 있지만 그 기억 속에 여러분의 보석 같은 강점이 숨어 있을지도 모릅니다.
현재 상황을 수용해서 환경을 바꾸고 용기를 낸 행동으로 몰입하고
무너지지 않는 나의 루틴을 세우며 여러분의 가치를 발견하는 것 마음속 자존감의 혁명을 이뤄보세요.
잘 보셨나요?
심리학자 최설민 작가님께서는 소통, 감성소통, 커뮤니케이션, 심리, 콘텐츠 등 다양한 분야를 심리학적 관점으로 풀어나가는 흥미로운 강연을
진행하고 계십니다.
강사 섭외 플랫폼이 궁금하시면? 호오컨설팅으로 문의주세요.
현재 진행률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