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오컨설팅

호오스토리

전문적인 섭외&진행 노하우로 다져진 호오컨설팅은 행사 진행에서 가장 중요한
사회자의 섭외를 통해 성공적인 행사가 진행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1:1문의

​명사특강 송재용 교수 강연 '한국의 새로운 성장동력은?' 강의

송재용 강사님

강연일

조회수1567

강연내용 소개
한국 기업들이 요즘 많이 힘든 이유, 단순히 경기 탓만은 아닙니다.
중국은 놀라운 속도로 추격해오고, 우리는 여전히 복잡한 규제에 발목 잡히고 있죠.
서울대 송재용 교수의 명사특강, 이번 강연에서는 그런 현실 속에서
“따라가는 전략으로는 더 이상 버틸 수 없다”는 경고와 함께,
‘차별화’만이 살아남는 길이라는 핵심 메시지를 전합니다.

왜 지금 ‘다르게’ 가야 하는지,
한국 기업들이 반드시 바꿔야 할 전략은 무엇인지,
글로벌 경쟁 시대의 생존 해법을 날카롭게 짚어주는 강의입니다.
강연분야

경영( 경영, 혁신, 경영전략, 변화 )

주요학력
-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와튼스쿨 경영학 박사
주요경력
- 전미경영학회 국제경영분과 회장
-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 전미경영학회 국제경영분과 집행위원
- Academy of International Business 석학종신회원
- 한국전략경영학회 회장
- Academy of International Business Korea Chapter 회장
-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에디터
- 한국국제경영학회 부회장
-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강연주제
- 한국 기업 경쟁력을 높이려면 직각 혁신이 필요하다
- 패러다임 변화에 맞는 신경영 전략
- 송재용의 스마트 경영
- 위기돌파 전략
주요저서

오늘 포스팅은 경영 전략 분야의 권위자, 송재용 교수님의 명사특강 강연으로

‘한국 기업이 살아남는 유일한 길 - 차별화 전략’이라는 주제의 특강 강의 영상입니다.

중국 기업의 무서운 추격, 그리고 국내 기업들을 꽉 묶는 각종 규제 속에서 이제 더 이상 따라가는 전략만으로는 생존이 어렵다는 냉철한 진단.

송재용 교수님은 글로벌 경쟁 시대에서

한국 기업이 어떻게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춰야 하는지, 그리고 지금 당장 무엇을 바꿔야 하는지를 명확하게 제시해 주십니다.

경쟁이 치열한 시장에서 방향을 잃은 기업이라면, 이 강연을 통해 돌파구를 찾게 되실 겁니다.

지금 바로 확인해 보세요.

지금 한국 기업, 왜 힘든가요?

여러분, 지금 한국 기업들이 가장 크게 부딪히는 건 중국발 위협이에요.

예전엔 “중국은 싸구려만 잘 만들어” 했지만,

지금은 기술이든 품질이든 한국 수준까지 올라왔습니다.

그런데 한국은 어떤가요?

규제의 덫에 걸려 있어요.

정권이 바뀌어도 규제는 더 늘어났지, 줄어든 적이 없습니다.

특히 노동시장 유연성이 너무 부족합니다.

그러니 기업들이 점점 해외로 나갈 수밖에 없는 거예요.

이런 문제들, 그냥 놔두면 안 됩니다.

제2의 노사정 대타협, 지금 필요합니다.

기업은 한국에 투자하고, 노조는 양보하고, 청년들의 일자리, 다 같이 고민해야죠.

 

대기업 구조, 이대로 괜찮을까?

여러분, 우리나라 대기업들 — 그동안 정말 잘해왔습니다.

정부가 전략산업 정해서 밀어주고, 대기업이 몰입해서 키우고.

이게 선단식 경영이었죠. 그땐 필요했어요. 효율적이었고.

근데 지금은요?

저성장 시대, 초경쟁 시대입니다.

이제는 그런 방식으론 한계가 분명합니다.

미국, 일본도 똑같이 갔었어요.

미국의 GE, 일본의 기업집단들 — 다 시대 변화에 밀렸습니다.

우리도 바뀌어야죠.

잘하는 사업에 집중하고, 안 맞는 사업은 과감히 정리해야 됩니다.

 

AI 시대, 진짜 중요한 산업은?

여러분, AI 혁명 얘기 많이 하시죠.

그런데 이 AI가 작동하려면 뭐가 필요할까요?

전기! 전력 인프라!

AI, 전기차, 스마트팩토리, 반도체… 다 전기를 폭발적으로 씁니다.

여기서 기회가 있습니다. 바로 원전 산업이에요.

우리나라, 전 세계에서 원전 풀 밸류체인을 가진 몇 안 되는 나라입니다.

미국, 유럽도 지금 원전으로 돌아서고 있어요.

여기 진짜 몇십 년 먹을 수 있는 산업입니다.

전력 기기, 원전 산업, 이쪽에 확실히 올라타야 합니다.

 

왜 요즘 벤처기업이 안 보일까?

2000년대 초반엔 네이버, 카카오, 엔씨소프트 같은 기업들 생겼죠.

지금은요? 왜 그런 스타 기업이 안 보일까요?

벤처 생태계가 안 살아서 그래요.

미국처럼 대기업이 벤처를 사주고, 벤처는 돈 벌고 나가는 구조가 잘 돼야 되는데,

우리는 대기업이 사면 욕먹어요. 규제도 많고.

그래서 제가 늘 얘기합니다.

M&A 길 좀 열어줘야 합니다.

대기업이 국내 벤처 사서 크게 만들 수 있게 해줘야 해요.

이게 바로 혁신 생태계를 만드는 길입니다.

 

중국보다 잘할 수 있는 전략은?

이제는 중국 따라가는 건 답이 아닙니다.

왜냐고요? 중국이 더 잘 따라갑니다.

우리는 이제 차별화 전략으로 가야 합니다.

차별화 전략은 두 가지예요.

하나는 브랜드, 하나는 혁신 기술.

여러분, 아직도 “Made in China” 하면 좀 싸구려 느낌 나지 않나요?

중국이 품질 많이 좋아졌는데도, 이미지는 쉽게 안 바뀝니다.

반면에 “Made in Korea”는 요즘 BTS, 오징어 게임, 삼성 덕분에 이미지 엄청 좋아졌죠.

삼성 브랜드는 전 세계 5위입니다.

이제 명품 반열까지 끌어올려야 해요.

갤럭시, 제네시스, LG 가전 다 세계 최고 수준입니다.

여기서 브랜드를 더 올려야, 중국과 완전히 다른 길을 갈 수 있습니다.

진짜 혁신은 어떻게 만들까요?

여러분, 지금까지 한국 기업은 오른손잡이 조직이었어요.

원가 줄이고, 품질 올리고, 정말 잘했죠.

근데 이젠 왼손도 써야 합니다.

왼손잡이 조직이 뭐냐고요?

혁신을 위한 별동대입니다.

이 조직은 완전히 다르게 가야 돼요.

▶ 수평적 구조

▶ 실패 용인

▶ 외부 인재 대거 영입

▶ 파격적인 보상 시스템

CEO보다 연봉 많이 받아도 좋습니다.

혁신을 이끄는 인재라면, 돈벼락 맞을 만큼 인센티브 줘야 해요.

그리고 외부 기업과 협업하고, 스타트업 인수하고, 오픈이노베이션 해야죠.

 

사업 전략과 기업 전략, 뭐가 다를까요?

사업 전략은 한 사업을 어떻게 이길 건가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건 핵심 역량이에요.

남이 쉽게 따라 못 하는 나만의 강점, 그걸 기반으로 차별화 전략 짜야 합니다.

근데 요즘은 전통 산업이랑 플랫폼 산업이 완전히 다릅니다.

플랫폼 산업은 공짜로 뿌려서 사용자 모은 다음에 돈 벌어요.

네트워크 효과가 핵심입니다.

기업 전략은 여러 개 사업 중 뭘 키우고, 뭘 줄일지 결정하는 거예요.

사업 포트폴리오를 조정하는 게 CEO의 가장 큰 역할입니다.

그래서 M&A도 하고, 신규 사업도 하고, 구조조정도 하는 거죠.

 

전략, 개인에게도 필요합니다

여러분, 전략은 기업만 쓰는 게 아닙니다.

개인 커리어에도 전략이 필요해요.

▶ 내가 가진 자원은 무엇인가

▶ 나는 어디에 집중해야 하는가

▶ 3년 뒤, 10년 뒤 어떤 방향으로 갈 건가

이게 전략적 사고입니다. 주식 투자도 마찬가지예요.

그냥 숫자만 보지 마세요.

세상이 어떻게 바뀌고 있는지, 어떤 기업이 그 흐름을 주도하는지, 그걸 읽는 눈이 있어야 합니다.

현재 진행률0%

정말 질의응답을 그만 두시겠어요?

조금만 체크하면 프로필을 받으실수 있습니다.
해당 팝업창을 끄신 후 다른 페이지로 넘어가시면
질의응답을 처음부터 다시 진행하셔야합니다.

예산을 미정으로 선택하셨군요!

평균적으로 전문강사·MC님 같은 경우는 150만원 이하,
인지도가 높은 강사 ·MC님은 그 이상을
체크해주셔야 합니다.

강사님을 선택하셨습니다.

다음페이지에서는 섭외 관련 정보를 입력하게 되며
섭외 일정문의시 강사 님이 가예약이 되므로
다음 내용은 꼭! 신중히 기재해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