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적인 섭외&진행 노하우로 다져진 호오컨설팅은 행사 진행에서 가장 중요한
사회자의 섭외를 통해 성공적인 행사가 진행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새로운 바람을 일으킬
NEW 한국사 이야기꾼의 등장!
대한민국 대표 브레인 서경석이 들려주는
한 번 읽으면 평생 기억하는 재미 보장 한국사
재치 있는 입담과 명석한 두뇌, 친근하고 선한 행보로 30년 가까이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아온 방송인 서경석이 이제는 ‘한국사 이야기꾼’으로서 독자들에게 첫인사를 건넨다. 스타 방송인이 된 이후에도 한국어교원 2급 자격 취득, 공인중개사 합격,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만점 등 끊임없이 새로운 공부에 도전하고 눈부신 성취를 일궈 낸 자타공인 공부의 신 서경석. 그는 십여 년 전부터 사람들에게 우리의 역사를 재밌게 소개해 주는 ‘한국사 이야기꾼’이라는 꿈을 키웠고, 꾸준히 한국사 공부에 정진해 왔다. 그리고 오랜 꿈의 결실로 그만의 독보적인 스토리텔링과 유머가 녹아 있는 한국사책 『서경석의 한국사 한 권』을 출간하였다.
이 책은 선사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길고 방대한 한국사 가운데, 한국인이라면 꼭 알아야 하는 주요 사건을 엄선하였다. 저자는 수십 년간 대중과 소통하고 눈 맞춰 온 그만의 이야기 전달력을 십분 발휘해 적절한 예시와 기발한 유머를 섞어 가며 어렵고 까다로운 한국사를 재밌게 설명하였다. 또 공부의 신답게 금방 다룬 한국사 이야기가 머릿속에서 휘발되지 않도록 저자의 노하우를 담은 ‘한 줄 코드’를 함께 수록하였다. 웃음을 유발하는 이 코드를 곱씹다 보면, 어느새 한국사의 주요 장면을 자연스레 알게 되어 읽는 재미에 기억하는 즐거움까지 느낄 수 있다. 흥미진진한 만화, 다양한 사진과 연표 자료도 곳곳에 배치되어 독자들이 더욱 쉽고 깊게 우리 역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늘 한국사와 친해지고 싶지만 어디서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한 독자들, 한국인의 숙명이자 필수 교양인 한국사를 머릿속에 꼭 부여잡고 싶은 독자들에게 이 책을 적극 추천한다.
●목차
[1부 | 선사 시대]
ㆍ 구석기: 돌로 도구를 만들기 시작하다
ㆍ 신석기: 농경은 혁명이야
ㆍ 청동기와 철기: 계급과 전쟁의 시작
[2부 | 고조선과 철기 시대 여러 나라]
ㆍ 고조선: 한반도에 처음 입주한 나라
ㆍ 부여·고구려·옥저·동예·삼한: 각양각색 개성파 국가들
[3부 | 삼국과 가야]
ㆍ 고구려: 최강 군사를 자랑한 용맹의 아이콘
ㆍ 백제: 1등으로 잘나가던 문화 강국
ㆍ 신라: 대기만성형 나라의 대표
ㆍ 가야: 철 하면 가야, 가야 하면 철!
[4부 | 남북국과 후삼국]
ㆍ 통일 신라: 진짜 하나가 되기 대작전
ㆍ 발해: 역사상 최대 영토를 자랑한 해동성국
ㆍ 후백제와 후고구려: 호족, 새 나라를 세우다
[5부 | 고려]
ㆍ 고려 전기: 고려 왕조 500년의 출발
ㆍ 고려 중기: 나라 안팎에서 벌어지는 각종 혼란
ㆍ 무신 집권기: 자, 이제 무신의 시대를 시작하지
ㆍ 원 간섭기: 고려, 원나라의 사위가 되다?
ㆍ 고려 말기: 요동 정벌, 그것이 문제로다
[6부 | 조선]
ㆍ 조선 전기: 유교 국가 조선의 태평성대 200년
ㆍ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조선사를 통째로 뒤흔든 전쟁
ㆍ 조선 후기: 엎치락뒤치락 정국 변동과 천재 왕의 등장
[7부 | 근대]
ㆍ 개항·개화·개혁: 한반도를 드리우는 검은 그림자들
ㆍ 국권 피탈과 저항: 아프지만 알아야 할 치욕의 역사
ㆍ 일제의 강점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 억압 속에도 굳게 내린 우리의 뿌리
ㆍ 국내외 독립운동: 독립을 향한 처절하고 숭고한 투쟁
[8부 | 현대]
ㆍ 광복~1950년대: 격동의 광복과 분단
ㆍ 1960~1970년대: 독재 정권과 저항
ㆍ 1980년대: 민주화를 향한 시민들의 외침
ㆍ 1990년대 이후: 가장 가까운 지금 우리의 역사
●책 속으로
흔히 고조선을 세운 사람을 말할 때, 우리는 ‘단군’이라고 칭합니다. 하지만 이 책을 읽고 있는 여러분은 이제부터 뒤에 두 글자를 덧붙여 ‘단군 왕검’이라 부르는 습관을 붙여 주시면 좋겠습니다. 왜냐하면 ‘단군’은 제사장, 그러니까 종교 의식을 집행하는 사람을 뜻하고 ‘왕검’은 지배자, 다시 말해 정치를 하는 사람을 뜻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단군 왕검’이라는 말만 보아도 제사와 정치를 한 사람이 했다는 것을 알 수 있죠. 그렇습니다. 고조선은 제정일치 사회였습니다.(30쪽)
왕의 이름은 그 왕이 죽고 나서 짓습니다. 그러니 이름만 봐도 그 왕의 행적이 어떠했는지 힌트를 얻을 수 있는 거죠. 어떤 왕이든 이름에 성(成)이 들어갔다는 것은 엄청난 무언가를 이뤄 냈다는 뜻입니다. 고려의 성종(成宗)이 그랬습니다. 곧 만나게 될 조선의 성종(成宗)도 한 업적 한 분이시고요. 대개는 국가 시스템을 정비한 왕의 이름에 이 글자가 붙지요.(96쪽)
주초위왕(走肖爲王) 일화를 들어 보셨죠? 주초(走肖) 두 글자를 합하면 조광조의 성인 조(趙)가 됩니다. 벌레가 나뭇잎을 갉아 먹었는데, 그 갉은 모양이 주초위왕, 그러니까 ‘조(趙)씨가 왕이 된다.’라는 뜻의 글이었다는 이야기 말이죠. 훈구파의 모략과 중종의 불신임으로 결국 조광조는 죽고 많은 사림들이 귀양을 가게 된 일이 바로 기묘사화입니다. 데뷔 초 제 유행어 중에 “그렇게 깊은 뜻이!”라는 것이 있었는데요, 당시 ‘주초위왕’이 새겨진 잎을 본 사람들은 이렇게 외쳤겠죠? “이렇게 기묘한 일이!”(153쪽)
궁중에는 비가 오면 쓰는 천막인 유악이 있었습니다. 이건 왕만 쓸 수 있었는데요, 당시 영의정이었던 허적이 허락도 없이 집안 잔치를 위해 이 유악을 가져간 것입니다. 이에 분노한 숙종은 허적과 윤휴 등의 남인 세력을 축출하고 서인을 등용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지요. 이때 정계를 장악한 서인은 내부에서 강경파 노론과 온건파 소론으로 또 한 번 나뉠 조짐을 보입니다. 경거망동한 신하, 허적의 유악 사건으로 남인이 물러난 이 사건을 경신환국이라고 합니다.(174~175쪽)
동기부여( 동기부여, 열정, 프로정신, 인생스토리, 도전, 성공, 자기관리, 삶의자세, 자기계발, 비전 )
창의( 창의, 창의력 )
힐링( 인생스토리, 행복, 자존감 )
현재 진행률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