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적인 섭외&진행 노하우로 다져진 호오컨설팅은 행사 진행에서 가장 중요한
사회자의 섭외를 통해 성공적인 행사가 진행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조용민 강사님
강연일
조회수1796
동기부여( 동기부여, 자기관리, 자기계발 )
4차산업( Ai(챗 GPT) )
경영( 리더십, 조직문화, 혁신 )
창의( 창의, 마케팅 )
취업( 창업, 스타트업 )
안녕하세요. 강사 섭외 전문 플랫폼 호오컨설팅입니다.
오늘 포스팅은 기업특강 전문가 조용민 대표 강연으로 '인정받는 일잘러 되기' 라는 주제의 특강 강의 영상입니다.
'일을 잘한다' '일을 되게 한다' 하는 그 특성들 중에 하나는 User Friendly (사용자 친화성) 입니다.
요새 수박 재고가 없는데, 손님이나 사용자들은 수박을 살 때 당도도 중요하나, 더 중요한게 있었다고 합니다.
그게 무엇이었을지, 앞으로 우리의 성공 방향은 어디에 두어야 할지, 한 번 보시죠.
'꼰대적 사고' 에서 벗어나기
사장님들이 이런 실수를 되게 많이 해요. 의사결정을 그냥 대충대충 하는거예요.
"오늘 (여기서) 심쿵한 사람 손 좀 들어보세요"
아무도 없으면?
"오케이, 내가 생각한 게 맞잖아. 어떻게 만난지 몇 분 만에 이상형을 찾았다고 생각을 하겠어"
이렇게 아주 고리타분하고 구태의연한 사람들을 '꼰대' 라고 하죠.
생물학적 나이가 중요한가요? '젊꼰'도 있죠.
"꼰대가 안되는 게 인생이 더 달콤해요."
조금 더 재미있게 잘 살더라고요. 꼰대가 되지 않는 삶을 강추합니다.
'꼰대' 의 기준?
그 사람이 사용자 친화적이냐 아니냐로 판가름이 되죠.
진짜 사용자 친화적인 사람들의 행동을 하면 꼰대랑 최대한 멀어질 수가 있어요.
'일을 잘한다' 하는 그 특성들 중에 하나는 User Friendly (사용자 친화성) 이에요.
제가 대학교 때, 어떤 여학우분이랑 영화 데이트를 하러 갔는데, 장치를 하나 해놨어요.
그 여성분의 앞자리를 미리 사놨어요.
왜 사놨을까요? 앞에 뒤통수를 없애버리겠다.
그 옆자리도 미리 사놨어요. 왜 사놨을까요? 겨울철이라서 외투 올려놓으셔라.
제가 자리를 미리 사놨다는 걸 얘기하면 될까요? 얘기하면 안 돼요.
그래도 저절로 알게는 해야 됩니다. 네 자리나 샀기 때문이죠.
그때 전국이 매진되던 영화여서, 누군가 실수로 앉으려는 순간에 딱 한마디만 하는거예요.
"(느끼하지 않고, 건조하게) 거기 저희 자리인데요."
그리고 절대 부연하지 말고, 가만히 참아야 해요.
그러면 "누구 오기로 했어?" 물어봅니다. 이제 한마디 하는 거예요.
"(바보처럼) 아니, 너 앞에 안 보일까 봐."
이러고 가만히 있으면 돼요. 그날 저녁 먹고 맥주 마실 때까지 이 얘기를 먼저 얘기하면 안 돼요.
엄청 먼저 얘기하고 싶어요. "아까 그 네 자리 산 거에 대해서 우리 토론해 보자." 이러면 그냥 끝나는 겁니다.
성공사례 1 : 유튜브 개발자
이랬던 조용민이 구글에 입사해서 이런걸 합니다.
2018년 이전에 유튜브에 앞으로 감기와 뒤로 감기 기능이 없을 때, 그냥 손가락으로 했죠.
그러면, 한국 개발자들이 이 기능을 왜 넣었을까요?
사람들이 너무 미세하게 조정을 해야 되니까, 불편해했으니까요.
'탭하는 게 더 편하다' 이런 아이디어를 내는 사람들은 어떻게 뽑았냐면,
딱 보고 왠지 극장표 4장 살 것 같은 사람들만 뽑은 거예요.
그러니까 '사용자 친화적인...' 이게 되게 중요해요.
성공 사례 2 : 백화점 MD
요새 현대백화점 압구정점이랑 무역센터점에 가면 수박이 없어요.
왜 없을까요? 썰어주죠.
재작년에는 훨씬 고당도 수박이 깔려있었는데, 왜 올해 저당도 수박이 더 많이 팔렸을까요?
손님이나 사용자들은 당도보다 더 중요한 게, 껍질이 너무 귀찮은 거예요.
갑자기, 현대 백화점이 썰어주는 거예요.
MD들이 고당도 수박을 찾으러 전국을 다녔는데, 포인트는 그게 아니였던 거죠.
중요한건, 껍질만 처리해 줘도 저당도까지 다 팔아재낄 수 있다는 겁니다.
성공 사례 3 : 세종대왕
혹시 훈민정음 앞부분 알고 계시나요?
'얘기하고 싶은 게 있는데도, 얘기를 못하니까 너무 불쌍해. 니네가 불쌍해서 쉽게 배우기 28개 만들었다' 이런 내용이에요.
600년 후에 AI가 이렇게 얘기했어요.
" 전 세계에 있는 모든 언어를 학습해 완료했는데, 한글이 제일 빨리 숙련도를 높였다."
미국 개발자들이 세종대왕을 되게 궁금해했어요.
결국에 우리나라가 AI 관련해서 나아가야 될 방향은 서비스전쟁이에요.
사용자 친화적인 사람들이 득세하는 그런 시대가 올거기 때문에, 성장 방향을 "사용자 친화적인 것" 으로 두셔야 합니다.
잘 보셨나요?
기업 특강 전문가 조용민 대표님께서는 동기부여, 자기관리, 자기계발 , Ai(챗 GPT), 리더십, 조직문화, 혁신, 창의, 마케팅, 창업, 스타트업 등
다양한 분야의 특강 강의를 진행하고 계십니다.
기업 특강 전문가 섭외를 원하시면? 호오컨설팅에서 무료 제안서 받아보세요.
현재 진행률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