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적인 섭외&진행 노하우로 다져진 호오컨설팅은 행사 진행에서 가장 중요한
사회자의 섭외를 통해 성공적인 행사가 진행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강사님
강연일
조회수1713
안녕하세요. 강사섭외 플랫폼 호오컨설팅입니다.
여러분, 칭찬… 참 쉽지 않죠? 받으면 괜히 어색하고, 그렇다고 거절하자니 더 이상해집니다.
그러다 보면 ‘내가 왜 그렇게 대답했을까’ 스스로 후회하게 되죠.
오늘 이 멘토특강에서는 바로 이 칭찬과 말의 습관, 그리고 관계를 지켜주는 대화법에 대해
MBC아나운서 강연을 토대로 함께 이야기 나눠보려 합니다.
작은 말 한마디가 상대에게 힘이 되기도 하고, 반대로 상처가 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어떻게 말해야 서로의 마음이 편해질 수 있는지, 또 어떻게 들어야 관계가 더 단단해지는지를 알아볼 겁니다.
여러분도 오늘 멘토특강을 통해 ‘말’이 가진 힘을 다시 발견하시길 바랍니다.
1. 칭찬, 짧고 자연스럽게 받는 연습.
사람들은 보통 “아니에요, 별거 아니에요” 하고 칭찬을 부정합니다.
하지만 그 순간, 상대의 시선과 진심을 부정하는 꼴이 됩니다.
“정말요? 쑥스럽네요. 그래도 고맙습니다.” 이렇게 짧게 받아주는 것이 훨씬 자연스럽습니다.
감사 → 완충 표현 → 마무리 이 세 단계를 기억하세요.
긴 설명이나 자기비하는 필요 없습니다.
2. 불편한 질문, 정면돌파보다 유연한 전환.
살다 보면 상대가 예민한 질문을 던질 때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영화 인터뷰에서 돈 얘기가 반복되자 게스트가 정색을 하며 불쾌함을 드러낸 적이 있었습니다.
그때는 당황했지만, 지금 같으면 “영화가 돈을 다루다 보니 질문도 그쪽으로 가네요. 다음은 다른 주제로 가볼까요?” 하고 가볍게 전환했을 겁니다.
'정면 충돌이 아니라 분위기를 바꾸는 전환의 기술'이 갈등을 최소화합니다.
3. 듣는 태도가 신뢰를 만든다.
여러분, 말을 많이 들어주는 사람보다 내 말을 제대로 이해한 사람에게 더 마음이 열립니다.
“그러니까 네가 답답했던 건 이런 상황 때문이라는 거구나. 그럴 수 있겠다.”
이렇게 요약해 주고 확인해 주면, 상대는 “내 얘기를 진지하게 들어주는구나” 하고 느낍니다.
그 다음에야 서로 다른 의견도 편안히 오갈 수 있습니다.
4. 멈출 줄 아는 용기
여러분, 좋은 대화도 길어지면 피곤해집니다.
연인과 다툼 중에도, 동료와 논쟁 중에도 결국 중요한 건 언제 멈추느냐입니다.
“지금은 여기까지. 우리 나중에 차분할 때 이어가자.”
이 한마디가 관계를 회복의 기회로 바꿔 줍니다. 입니다.
5. 디지털 시대, 더 예민해진 언어
카톡에 붙인 “ㅎ” 하나, 이모티콘 하나도 상대에겐 비웃음이나 무성의로 읽힐 수 있습니다.
저 역시 문자 끝에 ‘ㅎ’을 붙였다가 오해를 산 적이 있습니다. 그 경험 이후로 상대 성향에 맞춰 메시지를 조절합니다.
디지털 대화일수록 건조·정확·간결을 지키는 게 안전합니다.
6. 칭찬 수용, 한국식 스크립트
여러분, 한국어로 칭찬을 받을 때는 괜히 어색해집니다.
그럴 땐 준비된 몇 문장을 연습해 두세요.
“정말요? 고마워요. 부끄럽네요.”
“그렇게 봐주셔서 힘이 납니다.”
“덕분에 더 잘해보겠습니다.”
억지로 칭찬을 돌려줄 필요 없습니다. 진심으로 감사만 남기는 것이 가장 품위 있는 태도입니다.
"여러분, 결국 말은 내용보다 태도가 먼저 보입니다."
"칭찬은 짧게 받아들이고, 불편한 질문은 유연하게 넘기며, 습관적인 부정어는 내려놓는 것."
이 작은 차이가 대화를 더 따뜻하게 만들고, 관계를 오래 가게 합니다.
내일의 대화가 오늘보다 단 1%라도 나아진다면, 여러분의 인간관계는 분명히 더 단단해지고 깊어질 것입니다.
현재 진행률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