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적인 섭외&진행 노하우로 다져진 호오컨설팅은 행사 진행에서 가장 중요한
사회자의 섭외를 통해 성공적인 행사가 진행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채정호 강사님
강연일
조회수2
동기부여( 삶의자세 )
건강( 건강, 스트레스, 심리, 정신 )
힐링( 힐링, 행복 )
안녕하세요, 강사 섭외 전문 플랫폼 호오컨설팅입니다.
오늘 포스팅은 채정호 교수 강연으로 '성공한 사람들이 꼭 지키는 7가지' 특강 강의 영상입니다.
성공한 사람들은 풀리지 않는 문제에 어떻게 대처하는지 알아보고,
5분만 이라도 미루는 것이 좋을 때도 있다는 좋은 내용입니다.
삶에서 지혜를 키우는 7가지 방법
1. 풍부한 지식 쌓기
지혜의 기본은 지식부터 시작이 된다고 볼 수 있어요. 지식은 내 경험으로 갖는 거잖아요.
중요한 것은 삶은 내가 가진 어떤 관점과는 다를 수 있고, 내가 가진 경험으로서는 다 이해할 수 없을 수 있어요.
삶에 대한 지식을 끊임없이 업데이트 하는 것이 바로 지혜의 기본입니다.
예를 들면 내비게이션이 업데이트가 안 되면, 아주 가까운 좋은 길이 생겼는데도 돌아갈 수도 있고,
길이 없어졌는데도 그 길로 인도하겠죠.
내가 가진 지식을 하나하나 업데이트하는 것이 지혜로워지는 것에 첫 번째 단추입니다.
2. 맥락 파악
예를 들면 결혼식 주례사 분들이 텍스트가 정말 좋습니다.
아마 그분의 경험이나 인생을 담았을 수도 있고, 주례사 하신다고 준비하신 것도 많으니까요.
우리나라의 전형적인 결혼식은 안타깝게도 1시간이면 끝나고 나가야 되잖아요.
그러다보니까 그 순간에 좋은 텍스트를 늘어놓고, 맥락이 약한겁니다.
이 결혼식은 내가 중요하고 주례사의 말씀을 다 전달하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
신랑 신부에게 핵심적인 말을 빨리 전달해 줄 수 있는 맥락이 중요한 거죠.
우리 인생도 마찬가지로 나의 텍스트, 내가 가진 어떤 많은 지식을 갖고 있다고 하더라도 언제 쓰느냐가 정말 중요합니다.
3. 상대성 높이기
상대성이라고 하는 건 '내가 상대자다' 라는 겁니다.
절대자는 세상에 없어요. 신이나 하나님이 아니면 다 상대자입니다.
그래서 나한테 옳다고 해서 상대방한테는 틀릴 수 있다는 거예요. 상대성이라고 하는 건, '나는 우주의 중심이니까 이것이 정말 맞다' 라고 해도
그것이 상대방에게는 전혀 틀린 것일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는 겁니다.
이 상대성이 약해서 '내가 맞아 나는 힘을 가져야 돼' 라고 하기 때문에, 전쟁으로 가는 겁니다.
나만 맞는 사람들끼리 좋은 세상을 자꾸 만들려고 하니까 사회가 더 어려워지는 거예요.
지혜로워지려면 '내가 세상에 중심인 절대자가 아니라, 나는 상대자다. 여기에도 옳은 것이 있고, 저기에도 옳은 것이 있을 수 있다.' 를 익혀야 돼죠.
4. 불확실성 견디기
세상은 불확실하고 미래는 아무도 알 수 없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불확실함을 견디는 힘이 없어요.
제가 감히 단언하지만 불확실성은 점점 더 심해질 겁니다.
한 치 앞도 지금은 거의 1년 세상에 그 누구도 1년 안 못 볼 거예요. 확실한 걸 보장하다 보니까 정말 불확실한 것이 벌어지면 큰일 나는 줄 알아요.
사실 정확한 건 불확실한 게 디폴트 값이에요.
확실하다고 하는 거는 정말 극소수고 어떻게 보면 앞으로는 있을 수 없는 일이에요.
우리는 불확실한 것이 당연하고 불확실 속에서 살아가는 것이 맞습니다.
그래서 지혜로운 사람은 아무것도 보이지 않지만 그 불확실성을 견딜 수 있는 사람입니다.
5. 장기적인 안목 높이기
세상의 모든 일이 절대로 단시간에 끝나지는 않습니다.
x축은 상당히 길다.
우리나라 평균 수명이 90에 가까워졌고 곧 100세 됩니다. 나한테 기회일 수 있고 길게 보셔야 돼요.
우리의 성품대로 빨리빨리 해결하려고 하는 것들은 지혜롭지 못한 선택을 가져올 수가 많습니다.
조금 뒤를 보세요. 지금 당장은 이득인 것 같긴하지만, 길게 보면 이득이 아닐 수 있겠구나라고 생각하고
단기간에 이득을 포기하시는 분들 많이 있습니다.
'무조건 내 인생은 길다. 조금 더 여유가 있다' 길게 보는 시각을 가지시면 지금보다는 훨씬 지혜로워질 수 있다라고 봅니다.
지혜로워질 수 있는 한 가지 팁
짜증이 날때는? 5분만 있다가, 뭐든지 조금만 뒤로 미뤄보세요.
우리가 많이 미루지 마라. 성공하려면 지금 당장 해야 돼 이런 메시지에 젖어 있지만, 오히려 조금 더 여유 있게 가셔도 괜찮아요.
예를들어, 회사에서 짜증이 났어요. 화나서 이메일 써야지 하는데, 5분만 있다가 써보세요.
5분만 있으면 굉장히 많은 것들이 정리가 되면서, 생각도 편해지면서 다른 생각들이 들어올 수 있어요.
하다못해 5분도 이렇게 우리에게 도움이 되는데, 시간을 길게 본다는 건 엄청난 도움이 될 거라고 믿습니다.
6. 큰 것을 인정하기
많은 분들이 어떤 큰 것에 대한 것들의 취약성이 있어요.
큰 게 뭘까요? 예를 들어, 신앙이 있으신 분들은 하나님을 믿으면 돼요.
신앙이 없으면 대자연, 자연의 섭리 등이 있겠죠.
나보다 큰 것들을 인정하지 못하는 수가 많이 있습니다.
내가 세상의 모든 것을 돌리려고 하거든요. 특히, 상대성이 약한 사람이 그렇습니다.
내가 절대자가 돼버리는 거죠. 세상은 나보다 큰 것들이 분명히 있습니다.
내가 정말 크게 보기 시작하면 정말 달라지기 시작하는 것들이 분명히 보입니다.
7. 공감과 수용
지혜의 마음(공감의 마음) 이란, 저 사람이 무슨 마음인지 심정인지 알고 이해하고, 반응하는 것들입니다.
공감하는 사람의 이야기를 잘 들어주면 그 사람하고 또 이야기를 나누고 싶어하고,나를 굉장히 지혜로운 사람으로 여기게 됩니다.
공감해 주면 그 순간 내가 지혜로운 사람이 됩니다.
이 공감이란 마음 세상의 모든 것과 공감하고, 바라보고. 저 사람의 마음을 잘 알아듣는 거겠죠.
특히, 중요한 거는 타인의 마음을 알고 이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내 마음을 좀 아는 것도 되게 중요합니다.
그래야 나 자신을 잘 돌아볼 수 있게 될 수 있습니다. 이것이 지혜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채정호 교수님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교수풀이 궁금하시면? 호오컨설팅으로 문의주세요.
현재 진행률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