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적인 섭외&진행 노하우로 다져진 호오컨설팅은 행사 진행에서 가장 중요한
사회자의 섭외를 통해 성공적인 행사가 진행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이광민 강사님
강연일
조회수888
동기부여( 동기부여, 삶의자세 )
경영( 경영, 리더십 )
소통( 소통, 감성소통, 관계, 가정 )
건강( 건강, 스트레스, 정신 )
교육( 부모교육 )
힐링( 힐링, 행복, 자존감 )
안녕하세요, 스타 강사 섭외 전문 플랫폼 호오컨설팅입니다.
오늘 포스팅은 스타 강사 이광민 원장 강연으로 '사람을 만나면 옷과 신발부터 보세요' 라는 주제의 특강 강의 영상입니다.
기본적으로 사람은 '내가 사회적으로 어떤 존재로서 인식될 수 있느냐' 를 끊임없이 생각하면서 살게 되어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내가 입는 옷과 신발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위생 상태를 통해, 나의 심리 상태가 보이게 되죠.
사람을 만나면 '옷차림'부터 봐야하는 이유
옷차림도 자기관리이고, 개인위생입니다.
본인 스스로가 잘 씻지도 않고, 남한테 어떻게 보여지는지에 대해서 신경을 쓰지 않으면서
위화감을 준다면, 신경 써서 수정해야 하죠.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대표적으로 우울증의 증상일 수도 있고, 인과관계에 대해서 회피적인 특성 일 수도 있어요.
사람은 사회적인 동물입니다.
기본적으로 '내가 사회적으로 어떤 존재로서 인식될 수 있나' 를 끊임없이 생각하면서 살게 되어있죠.
우리 사회가 생각하는 정상 범주란?
정신과의 영역은 정상 범주 안에 있으면, 아무리 특이한 증상이라 하더라도 다 정상으로 봅니다.
설령 망상이나 환청, 우울증이 심해도 내가 어떤 사회적인 역할, 대인관계, 일상생활에 있어서 정상범주에만 있으면 병이라고 보지 않죠.
사회가 바뀌어서 모든 사람이 그냥 더럽게 다니고, 개인 위생을 신경 쓰지 않고 다닌다고 하면?
그게 정상범주로 바뀔지는 모르겠습니다.
아직까지 우리 사회는 상대방을 봤을 때 불쾌한 모습이나 냄새에 대해서는 정상 범주 밖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은 옷과 개인 위생에 전혀 신경을 쓰지 않은 상태는 병적인 영역이라고 볼 수 밖에 없어요.
우울증인 사람들이 옷을 제대로 못 입는 이유
기본적으로 사람들에게 보이려고 하지 않습니다.
집 밖으로 나올 에너지도, 씻을 에너지도 없고, 옷 고르는 것 역시도 귀찮다고 느끼죠.
"우울증의 특징은 에너지가 같이 떨어진다."
그러다보니까 계절에 안 맞는 옷을 입고 나오기도 합니다.
내 생존을 위해서 해야만 되는 일이기 때문이에요.
중증 정신 질환이 있으면? 개인 위생이 극도로 떨어집니다.
오히려 오염이나 감염에 스스로가 엄청난 불안을 가지고 있어요.
그래서 일정 부분의 망상이 포함 되는 경우도 있어서 어떤 것도 바꾸지 않죠.
그 상태에서 몇 개월에서 몇 년이 지난다고 생각해보세요.
상대의 본성 '이때' 단번에 파악할 수 있다.
대표적인게 사람을 만나러 갔을 때, 어느 자리에 앉느냐가 있습니다.
상대방을 배려해 주는 자리라면
내가 좀 불편한 자리에 앉고, 상대방을 좋은 자리에 앉히려고 하겠죠.
"어느 자리에 앉느냐에 따라서 그 사람의 특성들이 조금씩 드러나기도 한다."
상대방의 특성을 파악하기 좋은 환경은 식사자리입니다.
- 그 사람이 식사 시간에 얼만큼 시간을 맞춰서 오느냐, 아니냐.
- 그 장소와 자리에 얼만큼 적합한 옷을 입고 왔느냐.
- 주문을 할때, 본인이 어떤 선택의 어떤 과정을 거쳐서, 어떤 대화법을 써가면서 이루어 나가느냐.
- 음식을 먹으면서 어느 속도로 상대방에게 맞추면서 음식을 먹느냐.
- 사이사이에 어떤 대화를 적절하게 섞느냐.
그래서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미팅을 할 때 혹은 초반에 만날때 식사자리에서 만나는 경우들이 많습니다.
정신과 의사가 말하는 외모 + 옷차림 관리하는 방법
개인 위생이라는 건 중요합니다.
오히려 우울증이나 무기력이 심한 경우에는 안씻어도 상관 없지만 집안에만 있지 말라는 거죠.
내가 적당한 옷이 없어도 상관없어요.
일단 나가서 길거리를 산책하든 공원 벤치에 앉아있든, 휴대폰을 하든 밖에 나가는 시도를 하라고 말씀드립니다.
그리고나서 사회적인 시선을 가져오는 겁니다.
개인위생이나 내가 옷을 어떻게 입고는 내가 사회적인 시선을 신경 쓰는 거예요.
밖에 나가려는 시도를 계속하다보면, 일정 부분 동기가 올라오게 돼요.
머리도 좀 감고, 티셔츠 하나라도 사면서 좋은 인상을 보일 수 있는 무언가를 한개씩 해보는 거죠.
그것이 바로 내가 가지고 있는 사회적인 시선을 건강하게 끌고 갈 수 있는 배경이 될 수 있다라는 겁니다.
잘 보셨나요?
스타강사 이광민 원장님께서는 現 마인드랩 공간 정신건강의학과의원 원장이시자,
JTBC 예능 프로그램 '이혼숙려캠프' 에 출연 등 다양한 방송 및 강연 활동을 하고 계십니다.
스타 강사 섭외 방법이 궁금하시면? 호오컨설팅으로 문의주세요!
현재 진행률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