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적인 섭외&진행 노하우로 다져진 호오컨설팅은 행사 진행에서 가장 중요한
사회자의 섭외를 통해 성공적인 행사가 진행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강사님
강연일
조회수1379
안녕하세요. 강연섭외전문 플랫폼 호오컨설팅입니다.
올해로 무려 41년째 정신과 진료를 이어오고 계신 반건호 선생님은 수많은 부모님과 아이들을 만나며,
한국 사회의 조기교육 열풍과 경쟁 중심 문화가 아이들의 발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깊이 있게 연구해 오셨습니다.
부모의 열정은 아이들에게 기회의 문을 열어주는 동시에, 정작 놓치고 가는 중요한 발달 과제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시며,
단순한 성적이나 스펙 쌓기보다 아이가 건강하게 성장하기 위해 필요한 균형 잡힌 시각을 제시합니다.
이번 강연섭외을 통해 부모의 기대와 아이의 발달 사이에서 생기는 긴장,
그리고 조직과 개인의 성장에도 적용할 수 있는 협력과 자존감의 교육법을 함께 다룹니다.
아이 교육뿐 아니라 기업 구성원들의 역량 개발과 조직 문화 개선에도 깊은 인사이트를 줄 수 있는 강연입니다.
1.조기교육의 그림자
아이가 3세, 4세가 되면 스스로 선택하고 시도하며 자율성을 키워야 하는 시기가 찾아옵니다.
그러나 너무 이른 시기에 학원과 과도한 학습에 매달리면,
아이가 스스로 문제를 풀어내고 실패를 극복하는 자기주도성을 발달시킬 기회를 빼앗깁니다.
그 결과 성인이 되어서도 예상치 못한 어려움 앞에서 크게 흔들리고, 작은 실패에도 무력감을 느끼며 자신감을 잃는 경우가 많습니다.
2.첫 단추의 무게
우리 사회에서는 대학과 첫 직장이 개인의 인생을 좌우하는 것처럼 여겨집니다.
어느 대학에 갔는지, 어느 회사에 들어갔는지가 곧 사회적 지위와 인맥, 자기 자신을 바라보는 눈까지 결정하는 것처럼 말이지요.
그렇다 보니 젊은 세대는 실패를 더욱 두려워하고, 선택에 있어 지나친 압박감을 느낍니다.
그래서 흔히 “이생망”이라는 표현까지 쓰며 좌절하는 경우가 생기는데,
이는 사실 첫 단추에 과도하게 매달린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3.분리와 정체성
성장 과정에서 아이는 부모와 적절히 떨어져야 하고, 독립된 존재로서 나라는 정체성을 만들어 가야 합니다.
하지만 부모가 끝까지 조절하고 관리해 주면, 아이는 스스로 정체성을 탐색할 기회를 잃게 됩니다.
그렇게 성인이 되면 좌절을 경험했을 때 부모의 도움을 기대하지만, 현실에서는 부모가 더 이상 모든 걸 대신해 줄 수 없죠.
결국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힘을 가지지 못한 채 당황과 혼란 속에 빠지게 됩니다.
4.어른이 된 청소년
요즘 사회에서 자주 보이는 현상이 바로 이머징 어덜트후드, 즉 ‘어른이 된 청소년’입니다.
법적·나이로는 성인이지만 심리적·사회적 성숙은 아직 미완성인 상태를 말합니다.
결혼과 출산이 늦어지며 성인의 역할 시작도 지연되고, 그 사이에 삶의 불안과 무기력, 자존감 저하가 깊어집니다.
결국은 성인으로서의 역할 수행 능력이 늦어지고, 정신 건강 문제로 이어질 위험도 높아집니다.
5.불안·우울·번아웃의 신호
불안은 일시적으로 누구나 경험할 수 있는 감정이지만,
강도가 세지고 기간이 길어지면 공황 발작 같은 극단적인 증상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우울 역시 단순한 기분 저하를 넘어 일상 기능을 멈추게 만들 수 있습니다.
여기에 직장이나 가정에서 누적되는 스트레스가 더해지면 번아웃으로 이어져 삶 전체의 에너지를 고갈시킵니다.
이 신호를 가볍게 넘기지 말고, 제때 알아차리고 도움을 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6.회복탄력성과 실패 연습
삶에서 가장 중요한 힘은 바로 리질리언스, 회복탄력성입니다.
실패했을 때 다시 일어나는 힘이죠.
아이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부모가 보여주는 태도는 매우 큰 영향을 줍니다.
실패했을 때 “왜 못했어?”라는 눈빛보다 “괜찮아, 다시 해 보자”라는 격려가 아이의 실패 내성을 키웁니다.
마치 스키를 오래 타려면 넘어지는 법부터 배워야 하듯, 안전하게 실패하고 다시 도전하는 경험이 결국은 더 큰 성장을 가능하게 합니다.
결국 중요한 것은 빨리 가는 것이 아니라, 제때 발달해야 할 과제를 놓치지 않는 것입니다.
성인에게도 새로운 발달 과제는 끊임없이 주어집니다.
성장형 마인드로 문제를 바라보고, 스스로 건강한 루틴을 세우며, 관계 속에서 회복력을 키울 때 우리는 좌절을 딛고 나아갈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이 바로 우리 모두가 건강하게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핵심적인 힘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현재 진행률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