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적인 섭외&진행 노하우로 다져진 호오컨설팅은 행사 진행에서 가장 중요한
사회자의 섭외를 통해 성공적인 행사가 진행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류한욱 강사님
강연일
조회수293
안녕하세요 강사초청 전문업체 호오컨설팅입니다.
많은 부모님들이 이렇게 말씀하시죠.
“나는 아이를 정말 사랑하고, 칭찬도 자주 하는데 왜 아이는 여전히 소극적일까요?”

아이의 자존감은 단순히 ‘사랑의 양’으로 채워지는 것이 아닙니다.
부모와 아이 사이의 심리적 거리, 바로 그 균형이 아이의 사회성과 자신감을 결정짓습니다.
이번 강사초청 류한욱 원장님의 강연에서는 ‘사랑하지만 너무 가까운 부모’, 그 관계가 아이의 성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깊이 있게 다룹니다.
아이의 마음을 진짜로 단단하게 키워주는 부모의 태도, 그 해답을 함께 찾아가보겠습니다.
1) 아기를 대하듯 사랑하는 부모의 착각

아이를 사랑하는 건 너무나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사랑의 방식이 아이의 나이에 멈춰 있을 때 생깁니다.
많은 부모님들이 여전히 아이를 유치원생처럼 대합니다.
말투는 부드럽고, 스킨십은 잦고, 칭찬할 때도 “우리 아기 최고야, 너무 귀엽다!” 같은 표현을 쓰죠.
2) 칭찬에도 나이가 있다

칭찬은 사랑의 언어이지만, 그 언어도 아이의 성장 단계에 맞춰 바뀌어야 합니다.
세 살짜리 아이에게 “우리 아기 최고야!”라고 말하는 건 당연히 효과적이에요.
하지만 초등학생에게 같은 톤으로 칭찬하면, 그건 아이에게 “넌 아직 어려”라는 신호가 됩니다.
3) 사랑과 화내는 방식은 같은 뿌리에서 나온다

부모가 아이에게 사랑을 표현하는 방식은, 화낼 때의 태도와도 연결되어 있습니다.
아이를 아기처럼 대하는 부모는, 화가 났을 때도 아기에게 하듯이 감정적으로 반응합니다.
말로 설명하기보다 큰소리를 내거나, 억울함을 호소하거나, 감정을 폭발시키는 경우가 많죠.
4) ‘집 안으로 가출하는 아이들’의 진짜 이유

요즘 상담실에서 자주 만나는 아이들이 있습니다. 바로 ‘방 안으로 들어간 아이들’이에요.
예전처럼 밖으로 도망치는 가출이 아니라, 집 안에서 도피하는 형태죠.
이 아이들은 착하고, 말 잘 듣고, 부모와의 관계도 나쁘지 않습니다.
5) 부모와 자녀의 ‘거리 조절’이 자존감을 만든다

“대인관계는 거리의 예술이에요. 친구와의 거리, 선생님과의 거리, 모두 부모와의 거리에서 배웁니다.”
부모와의 관계가 지나치게 가깝다면, 아이는 친구에게도 과하게 다가가게 됩니다.
상대방은 부담을 느끼고 물러서고, 아이는 “나를 싫어하나 봐”라며 상처받죠.
6) 분리의 연습, 잠자리와 식사부터

류한욱 선생님은 현실적인 해결책을 제시합니다.
“아이의 자존감을 세우려면, 잠자리 분리와 식사 예절부터 시작하세요.”
잠자리 분리는 단순한 생활 습관이 아니라, 아이가 불안을 다루는 연습입니다.
혼자 잘 수 있어야, 불안한 감정을 스스로 다스릴 수 있습니다.
“사랑은 손을 잡아주는 것만이 아니라, 때로는 손을 놓아주는 겁니다.”
그 손을 놓는 연습이 바로 분리의 시작이자 자존감의 출발점입니다.
7) 사랑은 거리의 지혜로 완성된다

아이를 사랑하는 마음은 모든 부모가 같습니다. 하지만 좋은 사랑은 거리의 감각을 동반한 사랑입니다.
너무 가까우면 아이는 스스로 서지 못하고, 너무 멀면 외로워집니다.
현재 진행률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