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계획서 · 자기 착취를 멈추고 축제 같은 삶을 살자
1. 강의명 (Title)
교육 담당자용 제안
① 자기 착취를 멈추고, 축제처럼 살아가기
② 피로사회에서 벗어나 행복을 회복하는 자기 돌봄 리더십
③ 성과보다 삶, ‘일 잘하는 사람’에서 ‘잘 사는 사람’으로
2. 교육 개요 (Overview)
현대인은 스스로를 몰아붙이며 성과 중심의 자기 착취 속에 살고 있습니다. 이 강의는 토마스 만의 『베니스에서의 죽음』과 한병철의 『피로사회』를 바탕으로, 자기 착취의 구조를 성찰하고 삶의 균형과 회복을 회복하는 실천적 방법을 제시합니다. 단순한 ‘힐링 강의’가 아닌, 인간 존재와 일의 의미를 재정의하고, 개인과 조직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자기 관리의 철학을 탐구합니다.
3. 교육 목표 (Objectives)
- 성과 중심의 자기 착취 구조를 인식하고 벗어나는 통찰을 얻는다.
- ‘해야 하는 삶’에서 ‘원하는 삶’으로 전환하는 자기 인식의 힘을 기른다.
- 감정·휴식·관계의 균형을 회복하여 에너지와 몰입도를 높인다.
- 조직 내에서 지속 가능한 일과 삶의 리듬을 설계할 수 있다.
4. 기대 효과 (Expected Outcomes)
- 직원들의 피로감과 소진(Burnout) 감소, 일에 대한 만족도 향상
- 리더의 자기 돌봄 역량 강화로 조직 내 긍정적 문화 확산
- 성과 중심의 과잉 몰입 대신, 지속 가능한 성장 패러다임 구축
- 개인과 조직이 함께 ‘축제 같은 삶’을 살아가는 건강한 일터 실현
5. 상세 커리큘럼 (Curriculum) (시간 제외)
| 모듈 | 주제 | 핵심 내용 |
|---|---|---|
| 1 | 자기 착취의 시대를 읽다 | 한병철 『피로사회』를 통해 본 자기 착취의 구조, ‘자유로운 노예’의 심리 메커니즘 분석 |
| 2 | 토마스 만이 말하는 인간의 내면 | 『베니스에서의 죽음』 속 아셴바흐의 내적 갈등과 자기 소외의 상징 해석 |
| 3 | 성과의 함정에서 벗어나기 | ‘성과’가 만들어낸 자발적 피로 구조, 스스로를 몰아붙이는 심리적 원인 탐구 |
| 4 | 삶의 축제성을 회복하다 | 감각, 열정, 휴식의 재발견 — ‘축제 같은 삶’을 가능하게 하는 4가지 실천법 |
| 5 | 일과 삶의 새로운 균형 설계 | 조직 내 실천 가이드: 자기 돌봄 루틴, 휴식 리더십, 에너지 관리 시스템 구축 |
| 6 | 실천과 다짐의 시간 | ‘나를 돌보는 선언문’ 작성 및 공유, 개인별 축제형 삶 설계 워크숍 |
6. 강사 소개 (Instructor)
- 기업 교육 및 조직문화 컨설팅 경력 15년, 100여 개 기업 대상 강연 및 워크숍 진행
- 철학·심리학 기반의 리더십 및 자기 돌봄 교육 전문 강사
- 『피로사회』·『베니스에서의 죽음』 등 인문학 저작을 조직 현실에 접목한 사례 다수
- “성과보다 삶의 의미”를 주제로 임원·중간관리자 대상 강의 다수 진행
※ 본 강의 계획서는 블로그, 인터뷰, 유튜브 등에 공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따라서 실제 진행되는 강연 내용과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는 점, 양해 바랍니다.





그만하기
계속 답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