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계획서 · 잘못된 긍정확언 탑3
1. 강의명 (Title)
기업·조직교육 담당자용 제안
① 잘못된 긍정확언 탑3: 현실을 왜곡하는 자기암시의 함정
② ‘나는 잘될 거야’의 덫: 건강한 긍정과 자기기만의 경계
③ 현실을 직시하는 긍정: 심리학이 말하는 진짜 성장의 언어
2. 교육 개요 (Overview)
최근 ‘긍정확언’은 자기계발과 성공심리의 필수 요소처럼 자리 잡았지만, 무분별한 긍정은 오히려 정신적 불안과 현실 왜곡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본 강의는 심리학자 이선경 작가의 연구와 임상 사례를 바탕으로, ‘비현실적 낙관주의’와 ‘생존자 편향’이 개인의 삶과 조직문화에 어떤 부작용을 일으키는지를 분석합니다. 또한, 건강한 자기확언과 자기수용의 기준을 제시해 현실적 낙관주의의 힘을 회복하도록 돕습니다.
3. 교육 목표 (Objectives)
- 잘못된 긍정확언이 불러오는 심리적 부작용과 자기기만 메커니즘을 이해한다.
- 비현실적 낙관주의·생존자 편향 등 대표적 심리 오류를 사례 중심으로 학습한다.
- ‘건강한 긍정확언’의 기준을 정립하고, 자기수용 중심의 자기대화법을 익힌다.
- 조직 내 동기부여 문화와 개인의 정신건강을 균형 있게 관리하는 실천 방안을 도출한다.
4. 기대 효과 (Expected Outcomes)
- 조직 구성원의 현실 인식력과 회복탄력성 향상.
- ‘무조건적 긍정’ 문화로 인한 심리적 탈진·불안감 감소.
- 건강한 자기대화 습관을 통한 자존감 회복과 자기효능감 증진.
- 자기계발 콘텐츠를 비판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심리 리터러시(mental literacy) 강화.
5. 상세 커리큘럼 (Curriculum) (시간 제외)
| 모듈 | 주제 | 핵심 내용 |
|---|---|---|
| 1 | 긍정확언의 유행과 그 이면 | 긍정확언의 탄생 배경과 자기계발 문화 분석 · ‘잠재의식 변화’ 담론의 허구성 · 현실 부정형 확언의 심리학적 오류. |
| 2 | 잘못된 긍정확언 ① 무조건적 긍정 | “항상 행복할 것이다”식 확언의 문제점 · 낙관주의 편향 오류 · 현실 대비책 부재 시 불안 심화 메커니즘. |
| 3 | 잘못된 긍정확언 ② 과거 시제 확언 | “오늘은 최고의 하루였다”의 인지적 오류 · 시야 제한과 자기수용 저해 · 자존감 저하로 이어지는 과정 분석. |
| 4 | 잘못된 긍정확언 ③ 거짓 감사 확언 | 미래 사건에 대한 허위 감사의 불일치 인식 · 자기합리화·불안·우울 유발 사례 · 목표-행동 간 괴리 해소법. |
| 5 | 긍정확언 산업의 자본주의 구조 | 성공 사례 중심의 생존자 편향 · 자기계발 산업의 상업화 구조 · 콘텐츠 소비자의 심리적 착각 분석. |
| 6 | 건강한 긍정확언의 원칙과 실천 | 현실 수용·자기 인식·가치 기반 확언 설계법 · “나는 성장하고 있다”형 자기대화 적용 · 조직 내 긍정언어 문화 정착 전략. |
6. 강사 소개 (Instructor)
- 이선경 작가 / 심리학자: 인지심리학 기반의 자기계발 담론을 연구하며 ‘심리 리터러시’ 대중화에 힘쓰고 있음.
- 현실 중심 심리 교육: 긍정심리학, 낙관주의 편향, 자기수용 등 심리 실천이론을 기업 환경에 맞게 적용.
- 언론·유튜브 출연 다수: 현대인의 불안, 긍정 문화의 역효과, 자기확언의 올바른 기준을 주제로 활발히 강연.
- 조직 멘탈 헬스 특화: HRD, 리더십, 조직문화 개선 프로젝트에서 직원 심리 회복 프로그램 다수 운영.
※ 본 강의 계획서는 블로그, 인터뷰, 유튜브 등에 공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실제 강연 내용과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만하기
계속 답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