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계획서 · 존중과 사랑, 마음의 평화를 찾는 법
1. 강의명 (Title)
기업교육 및 조직문화 특강 제안
① 존중은 능력이다: 마음의 평화를 회복하는 관계 심리학
② 사랑과 존중의 심리학: 타인과 나를 함께 치유하는 힘
③ 조건 없는 행복: 마음을 단단하게 만드는 존중의 기술
2. 교육 개요 (Overview)
빠르게 변하는 사회 속에서 타인과의 관계, 자기 존중, 그리고 마음의 평화를 잃어버리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본 강의는 김주환 교수의 심리학적 통찰을 바탕으로 ‘존중’과 ‘사랑’의 본질을 탐구하며, 타인의 반응에 흔들리지 않고 스스로 평화를 유지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존중을 ‘베풂’이 아닌 ‘내 마음의 능력’으로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통해, 참가자들은 관계 스트레스 속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내면의 힘을 키울 수 있습니다.
3. 교육 목표 (Objectives)
- ‘존중’과 ‘사랑’의 심리적 의미를 이해하고, 관계에서의 감정 균형을 회복한다.
- 타인의 부정적 태도나 평가에 휘둘리지 않고 자기평화를 유지하는 법을 배운다.
- ‘경외심’과 ‘연민’을 통한 내면 확장 훈련으로 감정적 회복탄력성을 강화한다.
- 조직과 개인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존중 기반의 커뮤니케이션 문화를 구축한다.
4. 기대 효과 (Expected Outcomes)
- 관계 스트레스 감소 및 정서적 안정감 향상.
- 자기존중과 자기수용을 통한 긍정적 자아 인식 강화.
- 조직 내 존중 문화 정착으로 팀워크·소통 만족도 향상.
- ‘조건 없는 행복’에 기반한 자율적이고 평화로운 삶의 태도 형성.
5. 상세 커리큘럼 (Curriculum) (시간 제외)
| 모듈 | 주제 | 핵심 내용 |
|---|---|---|
| 1 | 존중의 본질: 베풂이 아닌 마음의 문제 | 존중은 거래가 아닌 선택의 행동 · ‘상대의 반응’이 아닌 ‘나의 태도’ 중심 사고 훈련 · 존중을 통한 자존감 회복. |
| 2 | 부정적 사람에게 휘둘리지 않는 법 | 감정적 거리두기와 평정심 유지 훈련 · 공격적·조종적 인간관계에서 벗어나는 기술 · 제도적 대처와 심리적 회복 병행. |
| 3 | 경외심을 통한 존중 능력 개발 | 자연·예술·일상 속 경외심 훈련법 · ‘나를 넘어서는 감정’이 만드는 관계의 깊이 · 존중을 ‘능력’으로 전환하는 사고법. |
| 4 | 사랑과 연민의 치유 심리학 | 사랑을 받는 것이 아닌 사랑하는 능력 · 용서의 본질과 자아 치유의 단계 · 연민을 통한 정서적 회복 루틴 설계. |
| 5 | 인정 중독에서 벗어나기 | 타인의 시선과 비교심리에서 벗어나는 법 · 자기존중을 회복하는 언어 습관 · 자율적 행복의 조건 정립. |
| 6 | 조건 없는 행복과 마음의 평화 | 행복의 내적 기준 재설정 · 상황 변화에도 흔들리지 않는 평정 훈련 · 존중과 사랑으로 채워진 삶의 실천 계획. |
6. 강사 소개 (Instructor)
- 김주환 교수: 연세대학교 교수, 조직심리 및 감정소통 전문가.
- 대표 저서: 『회복탄력성』, 『관계의 힘』 등 다수의 베스트셀러를 통해 인간관계와 마음의 평화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전함.
- 강의 분야: 조직 내 소통, 감정관리, 회복탄력성, 리더십, 행복심리학.
- 활동 경력: 기업, 공공기관, 교육청 등 다양한 기관에서 강연 및 멘탈케어 프로그램 진행.
※ 본 강의 계획서는 블로그, 인터뷰, 유튜브 등에 공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실제 강연 내용과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만하기
계속 답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