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오컨설팅

호오스토리

전문적인 섭외&진행 노하우로 다져진 호오컨설팅은 행사 진행에서 가장 중요한
사회자의 섭외를 통해 성공적인 행사가 진행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1:1문의

​AI시대, 전공의 미래: 데이터 너머의 생존 전략

김상윤 강사님

강연일

조회수38

강연내용 소개
본 특강은 AI 시대의 진로 결정이라는 현실적 과제를 중심으로, 김상윤 교수가 제시하는 “AI와 협업하며 살아남는 인재”의 기준을 다룹니다. 단순히 컴퓨터·데이터 전공이 유망하다는 오해를 넘어, AI가 바꾸는 일의 구조, 학문의 융합 방향, 그리고 전공 선택의 세 가지 기준 — 흥미·재능·협업 능력을 제시합니다. AI 시대의 진짜 경쟁력은 ‘무엇을 전공하느냐’보다 ‘AI를 어떻게 활용하느냐’임을 구체적 사례로 보여줍니다.
강연분야

4차산업( 4차산업, 트렌드, 디지털기술, 미래, IT, Ai(챗 GPT), 빅데이터, 미래기술, IT트렌드, 로봇, 산업, 미래사회, 비즈니스, 메타버스 )

주요학력
- 연세대학교 기술경영학 박사
- 연세대학교 기술경영학 석사
- 중앙대학교 컴퓨터공학과 학사
주요경력
- 한국 AI리터러시 아카데미 원장
-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AI비즈니스전공 겸임교수
- 세계경제포럼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
- 포스코경영연구원 수석연구원
- 중앙대 컴퓨터공학과 연구교수 외 다수
강연주제
- 생성형 인공지능 시대, 디지털 특이점이 온다
- AI기술 트렌드와 일상의 변화
- 디지털 변화 자율주행, 디지털 트윈
- 챗GPT의 시대, 인공지능은 세상을 어떻게 바꿀까
- 마이데이터 시대, 데이터 그리고 플랫폼의 만남
- 언택트 시대, 로봇들이 몰려온다
- 마이데이터 시대, 유통과 핀테크의 만남
- 제조업의 뉴 노멀과 한국 기업의 나아갈 길
- 4차 산업혁명과 소프트 파워
- 기업은 어떻게 AI를 도입하는가?
주요저서
강의계획서 | AI시대에 맞는 학과 선택 기준

강의계획서 · AI시대에 맞는 학과 선택 기준

1. 강의명 (Title)

스타 강사 섭외 / 미래진로 특강 제안

① AI시대, 전공의 미래: 데이터 너머의 생존 전략

② 인공지능과 함께 성장하는 인간의 전공 선택법

③ AI가 대체할 수 없는 나: 협업형 인재의 조건

2. 교육 개요 (Overview)

본 특강은 AI 시대의 진로 결정이라는 현실적 과제를 중심으로, 김상윤 교수가 제시하는 “AI와 협업하며 살아남는 인재”의 기준을 다룹니다. 단순히 컴퓨터·데이터 전공이 유망하다는 오해를 넘어, AI가 바꾸는 일의 구조, 학문의 융합 방향, 그리고 전공 선택의 세 가지 기준 — 흥미·재능·협업 능력을 제시합니다. AI 시대의 진짜 경쟁력은 ‘무엇을 전공하느냐’보다 ‘AI를 어떻게 활용하느냐’임을 구체적 사례로 보여줍니다.

3. 교육 목표 (Objectives)

  • AI가 대체할 직업과 살아남는 직업의 차이를 명확히 이해한다.
  • AI와 협업 가능한 전공 및 진로 설계의 핵심 기준을 학습한다.
  • MIT 등 글로벌 대학의 AI 융합 교육 사례를 분석한다.
  • 10대 및 청년 세대가 갖춰야 할 미래형 역량(기획력·대면소통력)을 체득한다.

4. 기대 효과 (Expected Outcomes)

  • 진로·전공 선택 역량 향상: AI 시대에 적합한 자기 탐색 및 의사결정 능력 강화.
  • AI 협업력 강화: 단순 대체가 아닌 ‘활용과 융합’ 중심의 사고 확립.
  • 창의적 문제해결력: AI 도구를 통한 실제적 기획·실행 경험의 중요성 인식.
  • 대면 커뮤니케이션 회복: 디지털 세대의 관계 설정 및 실전 소통 능력 제고.

5. 상세 커리큘럼 (Curriculum) (시간 제외)

모듈주제핵심 내용
1AI 시대의 직업 변화반복·규칙 기반 직업의 대체 현황 · 감정·소통 기반 직무의 생존 원리 · AI가 대체하는 ‘일’의 구조 이해.
2대체되지 않는 인간의 역할지시를 내리는 사람 vs 지시를 수행하는 사람의 차이 · 판단력·창의력·공감력의 경쟁력.
3AI 관련 전공의 현실과 오해컴퓨터공학, 데이터과학, 전자·로봇공학, 언어학 등 주요 전공 비교 · 철학·심리학 등 인문계 전공의 AI 연계 가능성.
4MIT의 AI 융합 교육 사례AI를 ‘제2언어’로 삼는 교육 철학 · 인문·사회 전공자의 AI 활용형 연구 · 융합형 전공 구조 분석.
5전공 선택의 3가지 기준① 흥미 있는 분야 ② 재능 있는 분야 ③ AI 협업 가능성 · 특이점 시대의 실질적 진로 판단 기준 제시.
6미래 인재의 핵심 역량기획력, 실행력, 대면 소통 능력 강화 · AI 시대의 인간 중심 커뮤니케이션 회복 전략 · 실제 사례 기반 실천 과제 제시.

6. 강사 소개 (Instructor)

  • 김상윤 교수 — KAIST 미래전략대학원 교수, 기술경영 및 AI 트렌드 전문가.
  • 주요 연구분야: 디지털 전환, AI 기반 미래산업 구조, 융합인재 양성.
  • 강연 특징: AI와 인간의 협업, 미래 직업 변화, 교육 패러다임 전환을 현실적 시각에서 제시.
  • 강연 경력: 대기업 임직원 대상 미래인재특강, 공공기관 및 대학 진로교육 등 다수 진행.

※ 본 강의 계획서는 블로그, 인터뷰, 유튜브 등에 공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실제 강연 내용과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현재 진행률0%

정말 질의응답을 그만 두시겠어요?

조금만 체크하면 프로필을 받으실수 있습니다.
해당 팝업창을 끄신 후 다른 페이지로 넘어가시면
질의응답을 처음부터 다시 진행하셔야합니다.

예산을 미정으로 선택하셨군요!

평균적으로 전문강사·MC님 같은 경우는 150만원 이하,
인지도가 높은 강사 ·MC님은 그 이상을
체크해주셔야 합니다.

강사님을 선택하셨습니다.

다음페이지에서는 섭외 관련 정보를 입력하게 되며
섭외 일정문의시 강사 님이 가예약이 되므로
다음 내용은 꼭! 신중히 기재해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