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계획서 · 작심삼일은 과학이다?
1. 강의명 (Title)
교육 담당자용 제안
① 작심삼일은 과학이다?: 꾸준함의 심리학
② 의지가 아니라 구조다: 3일 후에도 지속되는 동기 전략
③ 시작은 누구나, 지속은 과학이다
2. 교육 개요 (Overview)
“왜 3일은 잘 되는데 4일째부터 가라앉을까?” 이동귀 교수는 ‘작심삼일’이 의지 부족이 아니라 생리적 반응에서 비롯된다고 말합니다. 이 강의는 꾸물거림(Procrastination)과 의지력, 동기 유지의 과학적 메커니즘을 다루며, ‘지속 가능한 실행력’을 높이는 심리학적 전략을 제시합니다. 기업 구성원들이 변화와 습관 형성의 어려움을 과학적으로 이해하고, 실제 행동 변화로 이어지도록 돕는 실질적 동기부여 강연입니다.
3. 교육 목표 (Objectives)
- 작심삼일 현상의 심리학적·생리학적 원인을 이해한다.
- ‘자극 추구 성향’ 등 개인의 기질적 특성을 분석해 자기 이해를 높인다.
- 지속 가능한 목표 달성을 위한 동기 구조 설계법을 배운다.
- 작심삼일 후 ‘4일째 리스타트 전략’을 실천할 수 있다.
4. 기대 효과 (Expected Outcomes)
- ‘의지력의 한계’를 과학적으로 이해하고 자기비난 대신 자기효능감이 향상됩니다.
- 목표를 반복적으로 실패하던 구성원들이 현실적 실행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 조직 내에서 작심삼일 → 지속습관으로의 전환이 촉진됩니다.
- 심리학 기반의 동기 관리법으로 업무 집중력과 몰입도가 높아집니다.
5. 상세 커리큘럼 (Curriculum) (시간 제외)
| 모듈 | 주제 | 핵심 내용 |
|---|---|---|
| 1 | 작심삼일은 왜 반복되는가 | ‘의지 부족’이 아니라 생리적 반응 / 스트레스와 변화의 관계 / 3일의 과학적 유효기간 |
| 2 | 부신피질의 두 호르몬 이야기 | 아드레날린 vs 코르티솔 / 스트레스 완화 주기 이해 / 변화 초기에 나타나는 심리적 패턴 |
| 3 | 기질이 만든 꾸물거림 | ‘자극 추구 성향’의 심리학 / 새로움에 몰입했다가 식는 이유 / 개인별 동기 유지 전략 |
| 4 | 4일째의 함정과 리스타트 전략 | 지속 동기 유지를 위한 ‘마음의 예행연습’ / 4일째를 대비한 자기 설계법 |
| 5 | 꾸준함을 만드는 과학 | 습관 형성의 심리적 메커니즘 / “하루를 한 것이 하지 않는 것보다 낫다” 실천법 |
| 6 | 다시 시작하는 힘, 리스타트의 기술 | 완벽주의 내려놓기 / 중단을 실패로 보지 않는 사고 전환 / 일상의 지속성 디자인 |
6. 강사 소개 (Instructor)
- 이동귀 교수 – 현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 심리학적 행동 변화 전문가로, 꾸물거림·의지력·동기부여 연구의 권위자
- tvN <유 퀴즈 온 더 블럭>, KBS, SBS 등 다수 방송 출연 및 대기업·공공기관 동기부여 특강 다수 진행
- 강의 주제: 동기부여, 자기관리, 자존감, 관계, 감성소통, 마음의 회복
※ 본 강의 계획서는 블로그, 인터뷰, 유튜브 등에 공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따라서 실제 진행되는 강연 내용과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는 점, 양해 바랍니다.





그만하기
계속 답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