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계획서 · 놀면 병걸리는 한국, 딱 한마디만 하겠습니다
1. 강의명 (Title)
명사초청강연 제안
① 놀면 병걸리는 한국, 창조적 관점으로 살아가기
② 주체적 관점을 키우는 법: 문화심리학자 김정운 박사의 인생 수업
③ 재미·의심·데이터로 완성하는 창조적 인생
2. 교육 개요 (Overview)
본 명사초청강연은 문화심리학자 김정운 박사가 전하는 ‘한국인의 행복과 창조적 삶’에 대한 통찰을 담고 있습니다. 돈, 명예, 학벌 중심의 사회에서 벗어나 주체적 관점과 창조적 사고를 회복하는 방법을 제시하며, 남이 던진 질문이 아닌 ‘나만의 질문’으로 세상을 해석하는 사고 전환의 시간을 제공합니다.
3. 교육 목표 (Objectives)
- 행복과 성공의 기준을 재정의하고, 나만의 주체적 관점을 기른다.
- 질문의 순서를 바꾸어 사고의 틀을 깨는 방법을 익힌다.
- 창조적 사고를 위한 ‘데이터 축적’과 ‘메타 사고’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 삶과 일에 ‘재미’를 불어넣는 창의적 자기관리법을 실천한다.
4. 기대 효과 (Expected Outcomes)
- 조직 구성원들이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는 주체적 태도 강화
- 업무 몰입과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향상
- 스트레스 해소 및 심리적 회복을 통한 행복감 증진
- 개인과 조직 모두 ‘새로운 질문을 던지는 문화’ 확산
5. 상세 커리큘럼 (Curriculum) (시간 제외)
| 모듈 | 주제 | 핵심 내용 |
|---|---|---|
| 1 | 한국인의 행복, 왜 어려운가 | 돈·명예·학벌 중심 사회의 심리구조 분석 및 문화심리학적 접근 |
| 2 | 주체적 관점의 시작 | 타인의 시선을 의심하고, 나만의 맥락을 찾는 사고 훈련 |
| 3 | 질문의 순서를 바꿔라 | 행복과 성공을 묻는 방식의 전환: 질문을 통해 사고의 틀을 깨는 법 |
| 4 | 재미가 창조를 만든다 | 창의력의 출발점으로서 ‘재미’의 중요성, 놀이의 심리학 |
| 5 | 데이터를 쌓고 연결하라 | 메모와 기록의 습관, 메타 사고를 통한 지식 구조화 방법 |
| 6 | 생각을 체계화하는 도구들 | Obsidian·Notion·Evernote 등 도구를 활용한 창조적 사고 정리법 |
6. 강사 소개 (Instructor)
- 문화심리학자 · 전 명지대학교 교양대학 교수
- 『에디톨로지』, 『노는 만큼 성공한다』 저자
- 독일 베를린 훔볼트대 박사, 유학 시절 배운 ‘생각의 정리법’ 전파
- 유쾌하면서도 통찰력 있는 강의로 기업, 방송, 공공기관에서 높은 호평을 받는 명사
※ 본 강의 계획서는 블로그, 인터뷰, 유튜브 등에 공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실제 강연 내용과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만하기
계속 답변하기